컴퓨터 관련/Unix 관련 2015. 6. 25. 11:32
반응형

오늘은 유닉스(unix), 리눅스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명령어인 ls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ls 명령어는 windows의 dir 명령어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되십니다.

dir이 폴더와 파일등에 대해서 나오는 것처럼

ls도 리눅스와 유닉스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명령어로 보시면 되십니다.


그냥 ls를 치면 아래 그림처럼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그냥 파일명만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을 땐

ls -l을 이용해서 자세히 나오게 하고 있습니다.


ls -l을 치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1~7번까지의 네모칸과 숫자는 안나오고요.

그것은 제가 입력을 한 것이고요.



이제 1~7번까지의 내용이 무엇인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일종류 및 권한

총 10자리로 되어 있으며

맨 앞 한자리는 파일 종류입니다.

d는 디렉토리로 즉, 폴더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로 되어 있으면 일반 파일이고,

l 이면 링크된 파일입니다.


그리고 뒤에 9자리는 권한입니다.

소유자/그룹/공개권한입니다.

그리고 rwx로 되어 있는데

문자가 나와 있으면 권한이 있는 것입니다.


권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2. 링크 수

일반 파일은 1이고,

2는 폴더입니다.

그런데 솔직히 이건 저도 잘 모르겠고,

보지도 않는 것이라서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3. 소유자

파일을 올린 소유자입니다.

그래서 소유자 권한에 따라서 읽고,쓰고, 실행은

해당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


4. 그룹

소유자의 그룹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쉽습니다.

그래서 해당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같은 그룹이면 그룹권한에 따라서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합니다.


5. 용량

말 그대로 용량을 나타냅니다.



6. 수정날짜

마지막 수정된 날짜를 말합니다.


7. 파일명

보시면 아시겠지만

파일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너무 기본적인 것이지만

그래도 가끔 햇갈리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정리를 해봤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빛과 어둠사이
: